<나만의 실감미디어 공간 만들기> 키트
총 1개의 작품 만들기
한 작품을 만들어 보는데에 3시간 정도가 소요됩니다.
실감 공간
PM과 함께하는 미디어아트 공간 만들기
실감 공간을 만들고 싶은 당신을 위한, 기획~실행~운영 로드맵
왜 이 강의를 만들었나요?
실감미디어가 화제지만, 막상 나의 공간에 적용하려 하면 막막합니다. 화려한 프로젝션, 반응하는 콘텐츠 등 이런 멋진 공간은 어떻게 탄생할까요?
저는 지금까지 약 100건의 실감미디어 프로젝트를 기획, 실행, 리딩해왔습니다. 공공, 브랜드관, 전시, 카페, 해외 공간, 다양한 프로덕트 등 콘셉트부터 운영까지 공간의 모든 것을 직접 경험했습니다.
이 클래스에서는 제가 수년간 쌓아온 노하우를 ‘직장인’이 아닌 ‘직업인’의 시선으로 풀어내며, 누구나 실감미디어 공간을 스스로 기획하고 현실화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.
이런 분들께 추천합니다
- 실감미디어 공간 기획을 시작해보고 싶은 분
- 브랜드, 공간, 전시 관련 업계에 종사 중인 실무자
- ‘공간 + 콘텐츠’ 융합 비즈니스에 관심 있는 창작자/기획자
- 실감미디어 기술을 실제 공간에 구현해보고 싶은 예비 창업자
- 기술을 접목한 부동산 개발에 관심이 있는 투자자
이 강의는 이론이 아닌, 프로젝트 현장의 언어로 말합니다. 당신의 첫 실감미디어 공간이, 이 강의에서 시작되길 바랍니다.
<나만의 실감미디어 공간 만들기> 키트 소개
<나만의 실감미디어 공간 만들기> 키트는 실감미디어 업계에 관심을 갖고 있는 취준생, 창작자, 실무자, 예비 창업자 등을 위한 실전형 워크북입니다. 본인의 적성에 맞는 직업군을 선택할 수 있는 워크시트부터 자신만의 브랜딩을 통해 페르소나를 기획할 수 있는 워크시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. 나아가 실감미디어 공간 기획. 인테리어, 하드웨어, 소프트웨어, 콘텐츠, 운영/유지보수 단계에 맞춰 자신이 직접 실감미디어 공간을 만들어 볼 수 있는 구축 키트까지 제공합니다.
구성 워크시트 3종
① 실감미디어 직업군 워크시트
실감미디어 프로젝트에 필요한 7대 핵심 역할군을 소개하며, 각 직군의 역할과 협업 구조를 이해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.
-사업/전략/마케팅
-기획/연출/디렉팅
-공간디자인/인테리어설계
-운영/설치
-기술/개발
-콘텐츠/디자인
-교육/리서치/정책
② 페르소나 설계 워크시트
나만의 실감미디어 정체성을 설계하고, 다양한 협업 관계를 시뮬레이션하며, 실질적인 실행 전략까지 도출하는 확장형 자기 기획 워크시트입니다. 실감미디어 산업 내 자신의 역할을 구조화하고, 브랜드화와 액션 플랜으로 연결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습니다.
STEP 1. 나에게 맞는 직업군 선택
- 7대 실감미디어 직업군 중 자신의 관심과 역량에 맞는 역할군을 선택합니다.
STEP 2. 나의 핵심 직업 정의
- 선택한 직업군 안에서 나만의 전문성과 포지션을 정의합니다.
ex 실감 콘텐츠 연출자, 공간 운영 매니저, 인터랙티브 기술개발자 등
STEP 3. 나의 페르소나 2~3개 설계하기
- 자신이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역할을 페르소나 형태로 구체화합니다.
STEP 4. 페르소나 간의 관계 연결하기
- 설계한 페르소나들 간의 협업 관계, 보완 가능성을 도식화합니다.
STEP 5. 나만의 브랜드 이름과 슬로건
- 자신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담은 브랜드 네이밍과 슬로건을 개발합니다.
STEP 6. 액션 플랜(직업 강화 활동)
- 자신의 페르소나를 실현하고 성장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수립합니다.
③ 실감미디어 공간 구축 워크시트
실감미디어 공간을 구상부터 운영까지 단계별로 구조화하는 설계 도구입니다.
STEP 1. 공간 기획
- 전체 공간의 콘셉트 정의(목적, 분위기, 메시지)
- 공간 경험 키워드 및 핵심 테마 선정(명상, 교육 등)
STEP 2. 인테리어
- 공간 구조 및 레이아웃 초안 구성
- 벽체, 바닥, 천장 마감 재료 및 컬러 스킴 설계
- 조도·음향 환경 고려한 몰입형 분위기 연출
STEP 3. 하드웨어
- 디스플레이 장비(LED, 프로젝터, DOOH 등) 선정
- 센서류(터치, 모션, 라이다 등) 및 인터랙션 장비 배치
- PC, 서버, 음향, 조명 등 설치 포인트와 기술 사양 정의
STEP 4. 소프트웨어
- 콘텐츠 재생, 센서 연동, 장비 제어 소프트웨어 정의
- 터치/모션/제스처 등 인터랙티브 기능 캘리브레이션 계획
- AI, 데이터 분석, 운영 관리 플랫폼 연동 고려
STEP 5. 콘텐츠
- 공간 특성에 맞는 실감 콘텐츠 유형 선정
- 콘텐츠 흐름과 시나리오 구상
STEP 6. 운영·유지보수
- 콘텐츠 업데이트, 장비 점검, 고객 응대 시나리오 설계
- 매뉴얼 기반의 유지보수 체계 정립 및 위험요소 대비책 수립
클래스 커리큘럼1
커리큘럼
챕터 0개크리에이터
스페이스 크리에이터
스페이스 크리에이터 소개
실감미디어 공간을 만드는 스페이스 크리에이터입니다. 저는 지금까지 약 100건의 실감미디어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실행해온 PM입니다. 몰입형 전시, 미디어아트 행사, 브랜드 팝업, XR 체험관, 공공 미디어월, 프로덕트 구축 등 기획부터 설계, 실행, 운영까지 공간의 전체 흐름을 이끌어왔습니다.
공간은 콘텐츠가 되고, 콘텐츠는 다시 사람의 경험이 됩니다. 이 연결을 누구보다 깊이 고민해온 ‘현장형 전문가’로서, 이제는 이 경험을 더 많은 분들과 나누고 싶었습니다.
왜 클래스를 만들게 되었나요?
많은 분들이 실감미디어에 관심을 가집니다. 하지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,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, 또 내가 이 업을 할 수 있을지 막막함을 느끼곤 합니다.
저 역시 그랬습니다.
실감미디어가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았던 시절 직접 부딪히며 하나하나 배워야 했고, 실패를 통해 길을 찾았습니다.
이제는 그 시행착오를 줄이고 누구든 나만의 실감 공간을 상상하고 구현할 수 있도록 기획-인테리어-하드웨어-소프트웨어-콘텐츠-운영까지의 흐름을 ‘프로젝트 매니저(PM)의 눈’으로 정리해서 전달해드리고자 합니다.
이 클래스는 실감미디어 공간을 한 번도 경험해본 적이 없는 분도 이론과 실무적인 지식이 없는 분들도 함께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.
클래스 수강자에게는
실감미디어 업계 동향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스페이스 크리에이터 유튜브. 네프콘 채널이 별도 안내될 예정입니다.